반응형

기획업무 10

프로덕트 매니저 (Product Manager) 역할 이해하기

프로덕트 매니저 (Product Manager) 역할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패스파인더입니다. 오늘은 디지털 사업과 관련된 업무 중 주요 포지션인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의 기능은 해외에서는 구체적인 job description을 통해 정의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Project manager와 PM이란 용어로 쓰이며 혼란이 있기도 하고, 프로덕트 오너, 서비스 기획과 중복하여 쓰이기도 합니다. Product Management의 정의 Product Manager의 업무 Product Management의 정의부터 시작해봅니다. Product Management는 상품과 관련된 고객, 시장, 경쟁, 트렌드,..

꼭 알아야할 엑셀(excel) 팁: 엑셀 피벗테이블

엑셀(Excel)은 회사 업무에서 필수적인 툴입니다. 데이터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데이터는 많다면 엑셀 스킬이 업무 효율성, 성과에 매우 중요한데요. 이는 사용자의 퇴근시간과도 직결된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은 퇴근 시간을 ~1시간 이상 단축시켜줄 엑셀팁 피벗테이블의 꿀팁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엑셀피벗테이블이 왜 중요할까요? 피벗테이블은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분석을 쉽게 할 수 있다는데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엑셀은 정말 다양하고 유용한 사용법이 많은데요. 그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는 판매 통계 데이터의 현황 분석이라고 생각됩니다. 10만 줄이 넘는 데이터를 추출했는데 이걸 다시 합치고/나누고/결합 분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죠. 이럴때 단순하게 소팅/필터링을 사용한다면 한계가 많습니다. ..

요식업과 부동산에 대한 생각

요식업과 부동산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 패스파인더(pathfinder)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 2.5 + 알파 단계가 한창인 요즘 일요일 저녁 오랫만에 가족들과 외식을 나갔습니다. 배달을 시키기엔 늦었고, 날씨가 너무 추워 배달시켜도 음식이 식어올 것 같았죠. 이왕 오랫만에 나가서 먹을거면 배달로 시키기 애메한 국물 요리인 근처에 에머이로 가기로 했습니다. 밖에서는 가게가 혼잡해 보였는데, 들어가 보니 실제로는 네명 가족 한팀만 있었네요. 사람이 너무 없어서 식당에서 먹는게 그렇게 위험한 것 같지 않았어요. 일요일이라 주방장이 없는지, 추워서 재료가 없는지, 먼저 다 팔렸는지 주문가능한 메뉴는 쌀국수, 볶음밥, 군만두만 된답니다. 할 수 없이 하나씩 주문. 에머이 매장은 대부분 좀 넓을걸로 기..

브레인스토밍 대신에 써볼 만한 방법: 스캠퍼 SCAMPER

안녕하세요. 패스파인더(pathfinder) 입니다. 오늘은 브레인스토밍 대신 써볼만한 스캠퍼 SCAMPER에 대해 알아봅니다. 스캠퍼의 등장 브레인스토밍 (Brain Storming)은 이제 모두가 친숙한 용어입니다. 뭔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때, 새로운 해법이 필요할때 브레인스토밍을 하죠. 그리고 여러 원칙(남의 아이디어 비판하지 않기, 다양한 아이디어 내기, 직책 내려놓기 등등)을 가지고 회의에 입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며 창의적 + 효과적 아이디어를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아무말 대잔치로 끝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 그럼 어째던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를 스캠퍼 (Scamper)라는 기법을 통해 정교화 해보는 건 어떨까요? 미국의 광고대행사 BBDO 오즈번 ..

인사이트, so what 도출하기

인사이트, so what 도출하기 안녕하세요. 패스파인더(pathfinder)입니다. 오늘은 인사이트 (insight), 즉 어떤 문제에 대해 so what 도출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들어가면서... 분석과 인사이트... 전략가, 기획자라면 종종 듣는 팩키지 같은 말들. 사업이라면 대부분 데이터는 어느정도 있으니 분석은 이것 저것 현황을 정리하면서 해보지만, 정작 인사이트는 어디서 오는건지 알수 없습니다. So what? 으로 귀결되면서 고통이 이어집니다. 먼저, 비지니스 인사이트(시사점) 란 무엇일까요? 사업에 대한 인사이트란 광범위 영역에서 적용되어 쓰일수 있는데... 기업 운영의 효율성 개선, 매출 향상 및 고객 관계 강화 등 위한 내/외부 기회에 대한 이해하는 것이자, 주주의 니즈..

디자인 씽킹 기초 (design thinking)

안녕하세요. 디지털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사용되는 디자인 싱킹이라는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통적으로 톱다운식으로 사업의 방법론을 찾는 전략론과는 다르게 디자인 싱킹은 고객을 중심으로 기획을 만들어가게 되는 돼요. 이 번 포스팅은 아래 질문에 집중 하였습니다. 기획자라면 알아야할 문제 해결 방식 중 디자인 싱킹 방법론은 무엇이며,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가? 디자인 씽킹 방법론이 테크 기업의 성장 및 경쟁력 확보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이란... 😎 정의: 고객에게 놀라운 경험을 설계하는 일 전통적인 방식의 비지니스비즈니스 전략을 세워본 사람이라면 다소 생소하게 여겨지는 비즈니스 설계의 사고방식. 이름 그대로 디자인이 강조되는 방법론이기 때..

전략의 기초: 산업분석

"당신은 전략가 입니까"를 읽고 있습니다. 책은 어떻게 하면 전략을 잘짜서 실행해야하는 지를 HBS 수업시간에 참석한 느낌이 들도록 세밀하게 설명합니다. Case Study를 통한 방법론이죠. 실제 이케아 등의 사례는 꽤 흥미롭습니다. 결국 책은 오퍼레이션의 탁월함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짜여진 전략"을 통해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에 대해 강조합니다. 그럼 책을 바탕으로 간단히 정보를 드립니다. 새로운 사업 진입 전략을 고려할 때 아래 "산업분석"만은 기억해 보세요. 마이클 포터의 산업분석 5 Forces 및 해석 입니다. 1. 기업간의 경쟁 심함: 동질적인 경쟁기업과 상품이 많음. 혁신이 빠르게 모방됨. 성장이 더딤. 과잉설비/가격경쟁 약함: 차별성을 지닌 지배적인 기업이 한곳 혹은 서너곳 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