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계발 및 이직 8

이직시 안식월 만들기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 연초 계획 중 직장인들이 생각하는게 뭘까요? 이직은 그 중에 중요한 한가지인데요. 새로운 업무 기회, 연봉 인상, 커리어 전환을 위해 늘 고민하는 부분이죠. 오늘은 성공적인 이직처를 구하고 고려해볼만한 안식월, 즉 직장인으로서 꿀 휴식을 가져야하는 이유에 대해 공유해봅니다. 이직을 몇 번이나 하게 될까? 평생 직장의 개념은 없어진지 오래입니다. 예전 같으면 한 직장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서 안정정 은퇴를 하는게 미덕으로 여겨지던 시대가 있었지만, 정말 오래 전 얘기죠. 이제 대부분 직장인은 적게는 1~2번, 많게는 5번 이상 이직을 하게 됩니다. 통계로 보니 10년 사이 평균 이직 횟수가 1회, 약 30% 정도 증가했네요. 최근 다양한 스타트업이 늘면서 평균 이직 횟수는 통계보다 훨씬 높아졌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되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되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란 누구일까요? 단순하게는 data science를 하는 사람이죠 :) Wiki에 정의에 의하면 데이터 사이언스는 데이터 엔지니어링, 과학적 방법론, 수학, 통계학, 고급 컴퓨터, 비주얼라이제이션, 해커적 사고방식, 영역별 전문지식을 종합한 학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큰 의미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데이터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조직의 전략방향을 제시하는 기획자이자 전략가로도 여겨지죠. 데이터를 통해 야구경기의 승리를 이끈 영화 Money Ball의 주인공 이랄까요. 최근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속속 개설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얼마전 신문에 보니 SAP와 단국대가 Big Data 학과를 만든다는 소식도 있더군요. 흥미로운 ..

[이직/취업] 신입 이력서 작성 Tip (2)

대학을 막 졸업후 대졸 신입채용으로 입사하기 위한 이력서에는 어떤 내용이 필요할까요? 다음을 참고해 보세요. 인턴십 신입 입사를 위한 레쥬메에 이만한게 있을까요? 학교도중 인턴십을 했다면 이력서에 맨 위에 적으세요. 인턴십은 본인이 직장 생활을 아주 약간이지만 경험해봤고, 또 인턴십 자체를 가졌다는게 그만큼 취업을 위해 자기관리와 노력을 했다는 증거가 됩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이 또 있죠. 인턴십 기간중에는 대부분 아~주 중요한 일을 맡기란 어렵습니다. 회사 여건에 따라서는 허드렛일을 하는 경우도 많죠. 이럴때는 이런 경험을 다시 잘 포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화만 받는 일을 한 경우 "전화고객의 요청사항에 대한 지원 업무" 정도로 할 수 있겠죠. 이런경우 이 경험을 통해, 고객 서비스, 커뮤니케이..

무료 Ivy리그 MBA수업

주경야독, 낮에는 회사에서 일하고 밤에 공부하는 샐러던트(샐러리맨 + 스튜던트)의 시대입니다. 폭넓은 인간관계, 사내정치, 운, 탁월한 업무성과 등 샐러리맨으로서 성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이 많겠지만, 꾸준한 공부를 통한 자기계발만큼 중요한 부분도 없다고 생각됩니다. 공부는 기본적으로 독서, 자격증 및 학위취득, 어학 능력 향상 등이 있겠는데요. MBA 학위 취득 또한 셀러던트의 한 옵션이라고 생각됩니다.제가 오늘 소개해 드릴 내용은 온라인으로 Ivy 리그 MBA의 수업을 무료로 수강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방법은 Coursera 에 접속하시면 되는데요. Coursera는 MBA수업 뿐 아니라 600개 이상의 대학/대학원의 모든 과정을 제공합니다. Coursera 수업리스트 예술부터 경제, 경영, ..

빅데이터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빅데이터, 이제 더이상 낯설지 않은 말입니다. 뉴스와 신문에서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기사를 자주볼수 있죠. 그리고 그 빅데이터의 중심에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라고도 불리우는 데이터 분석가 들이 있습니다. 2012년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는 21세기의 ‘가장 매력적인’ 직종으로 데이터 과학자를 선정하였습니다. 또 맥킨지는 2018년까지 미국에서만 140,000~190,000명의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고, 1,500,000명의 데이터 분석 기반의 관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죠. 인기네요 :) 그럼 과연 Data Scientist는 어떻게 될수 있을까요? 통계/분석 역량: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IT능력:..

[이직/취업] 이력서 작성 Tip (3)

이직을 준비하시나요? 경력 이력서는 보통 한장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본인의 경험을 기술하다 보면, 1장을 훌쩍 넘기는 경우가있죠. 경력자에게는 파워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본인의 장점을 전달하는 이력서를 작성하는게 필수 입니다. 그런데, 채용자는 어떨까요? 채용자는 수 백장, 때론 수 천장의 이력서를 심사숙고해서 읽지 않습니다. 몇 분이나 될까요? 3분 이내일 겁니다. 따라서 채용자에게 쉽게 읽히면서, 본인의 강점을 임팩트 있게 드러내는게 필요합니다. 오늘은 간단하지만 임팩트 있는 레쥬메를 위해 점검해야 할 사항을 알려드릴게요. 1. 간결하게 장황하게 긴 문장보다는 간결한 문장이 좋습니다. 3-4줄이 되는 긴 문장에서 리쿠르터가 핵심적인 메세지를 찾기는 어렵겠죠. 본인이 ..

[이직/취업] 영문 이력서 작성 Tip (4)

외국계 회사로 지원하시나요? 외국계회사는 영문 Resume를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영문이력서에는 꼭 써야 하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Action verb라고 하는데요. 영문 이력서에 꼭 필요한 Action Verb를 소개해 드리니 참고하세요. (각 표현별 사용목적에 따라 나눠져 있습니다) COMMUNICATION 표현 authored composed consulted conveyed corresponded drafted edited explained finessed interpreted justified mediated negotiated reported revised simplified translated TEAMWORK assisted backed brokered collaborat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