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핀트 후기: 700일 투자수익 인증

스위트스팟 2022. 11. 12. 13:19
반응형

핀트는 파운트와 함께 대표적인 로보 어드바이저 서비스입니다. 투자자가 신경 쓰지 않고 AI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를 쉽게 해 주는 걸로 알려져 있죠. 개인적으로 핀트 투자를 700일 정도 사용했습니다. 성과를 좀 공유해볼게요. 

  • 핀트 700일 투자 수익률
  • 저수익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 핀트의 서비스 장단점
  • 파운트 투자와의 비교 

핀트 후기 포스팅 제목

 

1. 핀트 709일 투자 수익률

핀트의 700일(정확히는 709일) 장기 수익률은 -7.46 % 입니다. 누적으로 400만원 원금을 투자했습니다. 제가 선택한 상품은 원화 투자이며 저는 수익추구를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성장투자형을 지향합니다. 오랫동안 운용한 성과로는 생각보다 결과가 좋지 않네요. 아래 확인해보세요. 

핀트후기 투자수익률

700일 동안 가장 좋은 수익률은 3.7%인 이전 포스팅 이었던것 같습니다. ^^;  그 이후 100만 원 정도 원금을 추가로 납입했고, 투자시장이 침체되면 전반적으로 하락세가 유지되었습니다. 

 

핀트투자후기 장기수익률 추이

저는 투자금을 2년전에 한 번에 납입하지는 않았고 21년 12월 즈음을 마지막으로  분할하여 납입하였습니다. 정립식 투자가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하는 투자자분들도 많지만, 최근 시장 흐름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 거 같네요. 아래 자세한 현황입니다. 

핀트투자후기 배당금현황

참고로 배당금도 포함된 수익률 입니다. 

 

2. 핀트의 저수익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1) 시장 영향

최근 투자시장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좋지는 않습니다. 미국의 계속되는 금리 인상 효과로 뒤숭숭한데요. 핀트 수익도 마찬가지이긴 합니다.

당연히 시장 전체가 하락하는 장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도 하락을 할 거라고 예상은 됩니다. 다만 로보 어드바이저라면 AI 분석을 통해 시장보다 더 높은 수익이나 더 낮은 손실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핀트의 핵심 서비스도 이런 걸 주장하고 있고요. 

2) 개인의 투자 포트폴리오 선택 : 분산/효율/집중 형 

저는 분산투자를 선택했습니다. 분산투자는 아무래도 더 많은 자산에 골고루 분산투자 함으로서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는데요. (올웨더 같은 거죠). 이러한 선택이 아니라 집중형 포트폴리오를 선택했으면 더 수익률이 안 좋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핀트투자 후기 자산조회화면

하지만 실제 비교해서 성과를 보지는 않았기에 결과는 알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3) 개인의 운용 레벨 선택 (투자 성향)

핀트에서는 본인의 운용레벨을 선택할 수 있어요. 투자 성향과 같은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수익형을 선택하면 고수익/고위험이고 안정 우선을 선택하면 채권 비중이 높아집니다.

핀트투자후기 운용레벨 화면

저는 투자 성향을 수익형으로 선택했기에 아무래도 손실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 코인의 반토막 수익률보다는 손실이 낮지만요)  고수익/고위험이 핀트의 투자 성향에도 반영된다고 예상합니다. 

운용 레벨 관리는 아이작 커스터마이징이라는 메뉴로 들어가면 맨 아래 위치합니다. 

이번에 살펴보면서 현재 금리가 올라가고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고 생각하고), 채권 비중을 늘렸어요. 

핀트투자후기 커스터마이징 화면

3. 핀트의 서비스 장단점

핀트 서비스는 현재 핀트에 의하면 82만명이 사용하고 평균 340만 원을 투자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핀트 홈페이지 참고해보세요. 국내 성인 인구 규모를 생각하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것 같긴 하네요. 

장기 유저로서 생각하는 핀트의 장/단점 입니다. 아래 자세한 내용 확인보세요. 

1) 핀트 장점

  • 처음에는 투자에 대해 몰라도 자산배분이라는 전통적인 투자 기법으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 본인의 투자 성향을 어느정도 반영하여 포트폴리오 선택은 가능합니다. 
  • 로보 어드바이저, AI라는 기술로 투자한다는 약간의 기대감이 생깁니다.
  • 포트폴리오를 핀트가 알아서 조절해 줍니다. --> 수익이 발생하는 것과는 좀 다른 관점으로 봐야 할 것 같아요. 
  • 파운트보다는 수수료가 낮습니다. 수익에 대해서만 가져가고요. (핀트는 아무래도 거래 수수료에서 일부 수익을 챙기지 않을까 합니다)

2) 핀트 단점

  • 사용하다보면 생각보다 자산에 대해 관심도가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핀트는 투자 일일형으로 포트폴리오 조정을 핀트가 자율적으로 합니다. 
  • 분산투자를 적절히 하기 위해서는 300 만원 이상을 투자해야 여러 자산에 배분이 가능합니다. 
  • 절대 수익을 만들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장기투자를 기대해야 하는데, 시장이 망가지면 같이 망가지는 건 동일한 것 같습니다. 즉 시장 변동 (금리 이상 시기)에는 본인이 포트폴리오 또는 운용 레벨을 조정해야 합니다. 
  • 결국 투자에 대해 어느정도 지식을 갖춰야 좀 더 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생각도 듭니다. 

 

4. 파운트 투자와의 비교 

간단하게만 공유드리면 투자 기간 731일, 국내 ETF 투자에서 약 -4%의 손실 발생 중입니다. 포트폴리오는 유사하게 성장형이고요. 파운트는 일임형이 아니라 투자자문형이라 개인이 리밸런싱을 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전 포스팅 참고해보세요. 

 

투자에 대한 인기 정보

핀트 투자 후기: 7개월 수익률 인증

핀트(Fint) 투자 3개월 후기 - 파운트 비교

미국 고배당 ETF Top 10 비교 총정리

미국 배당주 순위 - Top 10 배당성장주

미국 배당주 Top 10 순위 - 배당귀족주 총정리

초고배당 ETF QYLD 투자 후기 (2021)

파운트 투자 5개월차 솔직 후기

파운트(fount) 투자 후기

jepi etf 배당, 주가, 전망, 단점 투자 정보 총정

 

 

-- 이글은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책임은 개인 스스로에게 있습니다. 

반응형